8월 바리바리 음식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실천-로컬 셀러편😇

  • 단정

단정은 제품을 만들 때 최대한 재료의 모든 부분을 이용해서 만들려고 합니다. 재고로 남아서 버리는 것 없게 시즌 제품은 조금씩 자주 만들고자 합니다.

  • 더커먼

커먼 밀카페의 대표메뉴 🥙팔라펠샐러드🥙에 들어가는 손질 후 생겨나는 울퉁불퉁한 당근은 주스로 사용하고 양배추의 껍질은 잘 씻어서 볶아서 삶아서 스텝밀로 먹어요😇 최근 팝업메뉴 <여름은 방울방울>에 손질 후 생겨난 방울토마토 껍질은 졸여서 갈았더니 멋진 토마토잼이 되었어요! 음식은 그때그때 소량씩 만들고, 커먼피플의 남김 없는 식사를 위해 커리는 적당량 서브되고 더 필요하신 분들은 리필해드리고 있어요✨

  • 대구녹색소비자연대

밖에서 음식을 먹을 때 도시락을 챙겨 다니며 남은 음식을 싸 오거나 미리 덜어 먹어요.

  • 빵담

빵담은 재고 빵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한 양을 생산하고, 남은 빵(판매는 어렵지만 먹을 수 있는 빵)은 모아서 독거노인센터에 기부합니다.

  • 베지하우스

베지하우스는 낭비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식재료 소량 구매를 합니다. 자주 장을 봐야 해서 번거롭지만, 덕분에 더욱 신선한 식재료로 음식을 제공합니다. 또 미생물(흙) 처리기를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만들어 사용합니다.

  • 비트윈투제로

비트윈투제로는 농업총생산량의 30% 정도의 모양, 크기, 과잉생산이란 이유로 버려지는 '못난이농산물'을 소비자의 식탁에 올라가 소비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유통하며 음식 쓰레기를 줄이는 식문화를 만들고 있어요!

  • 소명커피바

소명커피바에서 발생한 커피 찌꺼기는 동네 주민분들이 필요할 때 쓰실 수 있도록 나눠드리고 있어요.

  • 서로일상

가게에서 혼자 식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최대한 음식물 쓰레기가 나오지 않게 잔반을 남기지 않거나 먹을 수 있는 양만 조리를 하고 있어요.

  • 아취

아취는 중복되는 재료로 메뉴를 구성합니다. 재료가 중복되면 아무래도 쓰레기가 덜 나오고, 빨리 소진되어 신선한 재료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아요. 염분이 없는 음식 쓰레기는 썩혀 텃밭에 거름으로 사용하기도 해요.

  • 울퉁불퉁 팩토리

울퉁불퉁팩토리는 국내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해 두고두고 오래 즐길 수 있는 식료품을 만들어요. 친환경 소규모 농가에서 자란 울퉁불퉁한 비트, 파프리카, 양파 등 다양한 농산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

  • 이이알티 키친

식재료들을 농장과 농부님들과 직접 거래하여 최대한 신선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식재료를 구입합니다. 식재료는 구입 직후 모두 씻어서 따로 소분하여 보관하고 재료별로 보관법을 다르게 하여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과일청, 과일잼, 병조림, 페스토 등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품을 개발하여 직접 요리에 사용하고 있습니다. 재료를 통한 음식의 맛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식재료를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.

  • 찬찬농장

집에서 나오는 계란껍질, 커피 찌꺼기는 유용한 자연 퇴비가 되기 때문에 모아놨다가 숙성시켜서 밭에 작물을 재배할 때 사용합니다. 염분이 적은 음식 찌꺼기는 커피 찌꺼기와 같이 섞어서 발효시켜서 밭에 활용하고 있습니다.

  • 책빵고스란히

상해서 버려지는 재료가 없게 소량으로 채소와 야채들을 구입해요. 자주 장을 보는 것이 조금 번거롭기는 하지만, 늘 신선한 재료로 먹거리들을 만들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도 확실히 줄어들어요!

  • 프리디

과일은 소량씩 필요한 만큼만 구매하고, 쨈이나 소스 등이 상해서 버리는 일이 없도록 적은 양으로 자주 만들어 사용합니다.

  • 헤이차일드

일상에서는 식재료를 소량씩  자주 구매해 최대한 음식물이 낭비되지 않는 소비를 하고 있습니다. 매장에서는 과일 종류가 여름에는 잘 무르고 상하기 때문에 소량씩 구매, 제조 하고 있어요 :)


About

우리 동네 곳곳이 초록초록 모두를 위한 작은 실천이 함께 합니다. 

Location

대구 수성구 명덕로 411 광덕빌딩 8층 대구녹색소비자연대


Business license

311-82-73262


Reservation

Mail  baribari@dgcn.org

Tel  053-983-9798